WORK ABOUT LAB CONTACT
contact@yellow-finger.com
02.2205.4128

The Designer's Guide to Large Language Models - Browser London

대규모 언어 모델을 위한 디자이너 가이드

The Designer's Guide to Large Language Models - Browser London
A designer's guide to LLM integration: moving beyond prompts to create better AI experiences through understanding capabilities & constraints
우선, 이 글은 디자이너만을 위한 글이 아닙니다. 디자이너를 위해 쓰인 글입니다. 디자이너는 아니지만 LLM에 관심이 있다면, 이 글에 계속 남아서 오늘 나중에 접하게 될 기술의 이면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배우셔도 됩니다. 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부담은 없습니다.
요약 :)
LLM 기반 인터페이스는 단순한 기술 사양 이해를 넘어, 사용자 경험 전반을 재정의하는 새로운 UI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디자이너가 API와 백엔드 구조를 이해할 때 비로소 점진적 공개, 비용·성능 최적화, 신뢰 교정 같은 전략적 UX 결정을 설계할 수 있다. 특히 확률적 출력을 전제로 한 인터페이스, 컨텍스트 윈도우 한계에 대응하는 요약/핀ning 기능, 구조화된 입력과 대화 흐름 결합 같은 요소는 기존의 클릭·드래그 중심 UX에서 벗어나 사용자 중심 설계로의 전환을 이끈다.

또한 시장 현실을 고려할 때 LLM은 아직 전체 AI 시장에서 소수지만, 압도적 사용 비중과 앱 생태계 확장을 기반으로 “마인드 셰어”를 장악하고 있다. 이는 대화 디자인이 단순히 보조적 기능이 아니라 브랜드 신뢰, 사용자 지속성, 경제적 효율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한다. 향후 멀티모달·실시간 인터랙션, 자율 AI 에이전트, 하이브리드 UI(채팅+기존 UI)의 결합이 본격화되며, 디자이너는 인간-기계 간 커뮤니케이션 구조 자체를 설계하는 책임을 가지게 된다. 결국 AI UX는 기술적 혁신을 넘어, 사용자의 언어·심리·경제적 맥락을 모두 고려하는 총체적 디자인 과제로 진화하고 있다.
더보기→

출처.
Nathan Tufts-brown . (2025.08.21). Browser London. The Designer's Guide to Large Language Models - Browser London. 2025.09.04. https://www.browserlondon.com/blog/2025/08/21/the-designers-guide-to-large-language-models/
LLM 기반 인터페이스는 단순한 기술 사양 이해를 넘어, 사용자 경험 전반을 재정의하는 새로운 UI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디자이너가 API와 백엔드 구조를 이해할 때 비로소 점진적 공개, 비용·성능 최적화, 신뢰 교정 같은 전략적 UX 결정을 설계할 수 있다. 특히 확률적 출력을 전제로 한 인터페이스, 컨텍스트 윈도우 한계에 대응하는 요약/핀ning 기능, 구조화된 입력과 대화 흐름 결합 같은 요소는 기존의 클릭·드래그 중심 UX에서 벗어나 사용자 중심 설계로의 전환을 이끈다.

또한 시장 현실을 고려할 때 LLM은 아직 전체 AI 시장에서 소수지만, 압도적 사용 비중과 앱 생태계 확장을 기반으로 “마인드 셰어”를 장악하고 있다. 이는 대화 디자인이 단순히 보조적 기능이 아니라 브랜드 신뢰, 사용자 지속성, 경제적 효율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한다. 향후 멀티모달·실시간 인터랙션, 자율 AI 에이전트, 하이브리드 UI(채팅+기존 UI)의 결합이 본격화되며, 디자이너는 인간-기계 간 커뮤니케이션 구조 자체를 설계하는 책임을 가지게 된다. 결국 AI UX는 기술적 혁신을 넘어, 사용자의 언어·심리·경제적 맥락을 모두 고려하는 총체적 디자인 과제로 진화하고 있다.